HTTP의 진화, HTTP/3
·
IT/Web
HTTP의 진화, HTTP/3HTTP/3는 전송 계층에서 TCP 대신 QUIC을 사용한다.QUICHTTP/3에서 QUIC 기능을 통해 지연 시간 단축, 네트워크 안정성, 빠른 성능을 가능하게 한다.훨씬 낮은 대기 시간 제공TCP는 핸드쉐이크 후 별도로 TLS 과정을 수행하지만 QUIC은 핸드쉐이크 단일 과정에서 처리UDP를 통해 개별 스트림이 독립적으로 실행연결 ID(Connection ID)로 세션 유지 가능Wifi에서 Lan으로 변경 등 네트워크 변경 상황에서도 연결 ID를 통해 연결 유지할 수 있다.네트워크 전환 중에도 연결을 유지할 수 있다.개별 스트림 기반 전송으로 손실된 스트림만 재전송 가능HTTP/2는 다중화 프로토콜로 여러개의 동시 HTTP 트랜잭션을 허용하지만, 단일 TCP 연결에서 다중..
HTTP의 진화, HTTP/2
·
IT/Web
HTTP의 진화, HTTP/2 Stream, Stream Multiplexing (다중 요청 처리)하나의 TCP 연결에서 여러 개의 요청과 응답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연 시간(latency)을 줄이고 더 빠른 웹 페이지 로딩을 가능하게 합니다.HTTP/2는 하나의 TCP Connection에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반면 HTTP/1.1은 여러개 Connection을 가지는 것을 확인서버 푸시(Server Push)HTTP/2는 서버 푸시(Server Push) 기능을 제공하여, 클라이언트가 요청하지 않은 리소스도 미리 보내는 방식으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헤더 압축 (HPACK)HTTP/2는 헤더 압축을 통해 요청과 응답의 크기를 줄이고, 네트워크 효율성을 높입니다. 이를..
HTTP의 진화
·
IT/Web
HTTP의 진화HTTP/0.9 – 원-라인 프로토콜HTTP 초기 버전에는 버전 번호가 없었습니다. HTTP/0.9는 이후 버전과 구별하기 위해 0.9로 불리게 되었습니다. 리소스에 대한 경로는 GET이 유일 했으며 HTML 파일 전송만 가능했고 다른 유형의 파일들은 전송할 수 없었습니다.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문제에 대한 내용이 포함된 HTML 파일을 생성 했었습니다.GET /mypage.html A very simple HTML page HTTP/1.0 – 확장성 만들기HTTP 요구사항을 충족하고 표준화 하기 위한 HTTP WG 조직이 탄생했고 1996년 HTTP WG는 HTTP에 관련된 사양들을 종합해서 발표 했는데 이를 HTTP/1.0 으로 불렀습니다. 이 때 최초 HTML 버전을 HTTP/0.9..
HTTP Response Status Code (HTTP 응답 상태 코드)
·
IT/Web
HTTP Response Status Code (HTTP 응답 상태 코드) Status Code 란? HTTP response is called the status line and includes a numeric status code (such as "404") and a textual reason phrase (such as "Not Found"). The way the user agent handles the response depends primarily on the code, and secondarily on the other response header fields. Custom status codes can be used, for if the user agent encounters a cod..
HTTP Request Method (HTTP 요청 방법)
·
IT/Web
HTTP Request Method (HTTP 요청 방법) HTTP 는 GET, HEAD, POST, PUT, DELETE, CONNECT, OPTIONS, TRACE, PATCH Reqeust Method 가 있으며, 상황별 알맞게 사용을 권장한다. GET The GET method requests a representation of the specified resource. Requests using GET should only retrieve data and should have no other effect. (This is also true of some other HTTP methods.)[1] The W3C has published guidance principles on this distin..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란?
·
IT/Web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란? 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이루어지는 요청/응답(request/response) 프로토콜이다. W3 상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이다. 주로 HTML 문서를 주고받는 데에 쓰인다. 주로 TCP를 사용하고 HTTP/3 부터는 UDP를 사용하며, 80번 포트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클라이언트인 웹 브라우저가 HTTP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웹페이지(HTML)나 그림 정보를 요청하면, 서버는 이 요청에 응답하여 필요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이 정보가 모니터와 같은 출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나타나는 것이다. 추가로, HTTP는 여러가지 버전이 있다. HTTP의 버전은 이후 알아보기로 한다. 클라이언트 요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