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선, 쉘스크립트 윈도우 -> 리눅스 되었을때 발생하는 문제

2019. 10. 22. 16:41·OS/Centos
반응형

linux 에서 스크립트 실행할 때

/bin/sh^M: bad interpreter: No such file or directory

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나타날 때가 있다.

 

유닉스 개행문자와 도스 개행문자가 섞여있어서 발생

 

즉 Line seperator 문제이다 CRLF를 LF로 변경하면 해결되는 문제인데 불가피한 상황에서 처리 방법이다.

 

 

vi -b

vi 의 바이너리 모드로 들어가면 ^M 이라는 문자가 보인다. 이것을 지워주면 된다.

 

vim -b 파일이름

 

명령줄에 :%s/^M//g 입력하면 ^M이 다 삭제됨

 

^  : CTRL + v

M : CTRL + M 클릭해야함

 

728x90
반응형
'OS/Cent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entOS 7 / 고정 IP 설정하는 방법
  • Centos 파일, 디렉토리 찾기
  • Centos 6, 7 포트 추가
  • 쉘 접속 지연 문제 해결 방법
상쾌한기분
상쾌한기분
  • 상쾌한기분
    상쾌한기분
    상쾌한기분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250)
      • Python (44)
        • Python (26)
        • Django (6)
        • Flask (4)
        • Open Source (6)
      • Kotlin & Java (5)
        • Spring (2)
        • 프로젝트 (1)
      • Go (11)
      • Database (24)
        • MySQL (21)
        • Redis (3)
      • Infrastructure (2)
        • CDC (4)
        • Kafka (5)
        • Prometheus (2)
        • Fluentd (11)
        • Docker (1)
        • Airflow (2)
        • VPN (2)
      • IT (25)
        • AI (9)
        • Langchain (8)
        • Web (18)
        • Git (8)
        • 리팩토링 (9)
        • Micro Service Architecture (8)
        • Clean Code (16)
        • Design Pattern (0)
        • 수학 (1)
        • 알고리즘 (14)
      • OS (14)
        • Centos (10)
        • Ubuntu (3)
        • Mac (1)
      • Search Engine (2)
        • ElasticSearch (1)
        • Lucene Solr (1)
      • PHP (2)
        • Laravel (1)
        • Codeigniter (1)
  • 블로그 메뉴

    • Github 방문
  • 링크

  • 공지사항

  • 인기 글

  • 태그

    fluentd
    오블완
    docker
    ollama
    티스토리챌린지
    Redis
    prompt
    http
    Langchain
    CDC
    Golang
    Kafka
    파이썬
    go
    performance
    백준
    LLM
    MYSQL
    python
    git
  • 최근 댓글

  • 최근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상쾌한기분
파이선, 쉘스크립트 윈도우 -> 리눅스 되었을때 발생하는 문제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